
이번 장에서는 학습을 잠시 쉬어 가죠 대신 지금까지 배운 것에 대해 생각을 좀 해 봅시다 전가산기를 하나의 기호로 표시하면서 내부적인 구조는 모두 숨기고 장치의 기능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내부 구조가 얼마나 복잡한지 꼭 기억해야 합니다 그러한 통찰이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를 이끌어 냅니다 AND 게이트 -> 릴레이 2개 OR 게이트 -> 릴레이 2개 NAND 게이트 -> 릴레이 3개 (인버터도 릴레이로 취급) XOR 게이트 -> NAND + OR + AND -> 릴레이 7개 반가산기 -> XOR + AND -> 릴레이 9개 전가산기 -> 반가산기 2개 + OR -> 릴레이 20개 단순히 두 개의 이진수를 더하기 위해 무려 20개의 릴레이를 복잡하게 연결해야 합니다 지금 우리가 누리고..

※ 이진법과 이진수의 덧셈방법은 설명을 생략합니다 이번 장에서는 덧셈 연산 구현방법에만 집중합니다 1. 덧셈의 의미 덧셈은 두 개의 수를 더하는 연산이고 가장 기본적인 연산이죠 사실 컴퓨터가 하는 연산이라고는 덧셈밖에 없습니다 덧셈만으로도 가깝게는 뺄셈, 곱셈, 나눗셈 을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로켓을 달에 쏘기도 하고 인간의 DNA를 분석하기도 하며 바둑을 두기도 하고 축구를 하기도 합니다 이 모든 것은 덧셈만으로 이루어 집니다 가히 놀랍고 혁명적입니다 정말 덧셈만으로 이게 다 가능하다고?!! 우리 인류는 이러한 일을 100년이 채 안되는 기간에 모두 이루어 냈습니다 우리는 앞으로 그 이유를 알아보고 혁명의 과정을 하나씩 따라가 볼 것입니다 일단, 이 모든 혁명의 시발점인 덧셈 계산기부터 만들어 보죠..

2. OR 게이트 나는 돈이 많거나 옷을 잘 입으면 결혼할 거야! OR 논리는 둘 중 하나가 참일 때 결론이 참인 논리입니다 A B 결과 0 0 0 0 1 1 1 0 1 1 1 1 OR 진리표 그러면 OR 게이트는 릴레이를 어떻게 연결하면 만들 수 있을까요? ... ... ... ... ... 이렇게 연결하면 A 나 B 둘 중 하나만 전류가 흐르면 출력이 발생합니다 앞서 살펴본 AND 게이트처럼 OR 게이트도 단순한 기호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3. NOT 게이트 나는 추사랑이 아니다 NOT 논리는 조건을 부정하는 논리입니다 A 결과 0 1 1 0 NOT 진리표 NOT 게이트는 사실 이미 앞에서 배웠습니다 바로 인버터를 사용하면 됩니다 인버터는 릴레이와 정확하게 반대로 동작했었죠 NOT 게이트의 기호는 다..

이번 장에서는 릴레이를 조합해서 기본적인 논리를 회로로 나타내 보겠습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논리 회로를 논리 게이트라 합니다 1. AND 게이트 나는 돈도 많고 옷도 잘 입는 사람하고 결혼할 거야! 친구가 또 시덥잖은 소리를 하고 있네요 빨리 겸손해 지도록 미용실에 있는 진실의 거울 앞에 앉혀야 겠어요 우리는 매우 자연스럽게 친구의 말을 이해하지만 만약 돌고래에게 저 말을 이해시킨다거나 외계인에게 저 말을 전달한다고 생각해 보면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저 말의 기저에 깔려 있는 논리의 구조는 무엇일 까요? 돈이 많다 라는 조건을 A 옷을 잘 입는다 라는 조건을 B 결혼한다 라는 결론을 C 라고 하면 A와 B가 모두 만족되면 C를 할 거야! 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결국 정리하면 A와 B가 모두 ..

이번 장에서는 릴레이라는 장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 전에 먼저 알고 있어야 하는 개념이 있습니다 1. 전자석 전기로 자석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전류가 흐르게 되면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합니다 이를 이용해서 자석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전자석의 형태는 솔레노이드 라는 형태입니다 둥근 도체에 전선을 감아주고 전류를 흘려주면 도체 양끝에서 강한 자기장이 발생하게 됩니다 다음 영상을 확인해 보시면 금방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2. 릴레이 이제 릴레이라는 장치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릴레이의 회로는 위와같이 생겼습니다 입력과 연결되는 전자석이 있고 그 위에 철심이 있습니다 이 철심은 한쪽에는 전원(V)이 연결되어 있고 한쪽에는 출력이 연결되어 있죠 전자석에서 나가는 전선은 접지된다고 이해하면 되는데 접지가 ..

컴퓨터라는게 뭔가요?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특정한 기능을 인간 대신 처리해주는 장치입니다 우리는 지금 당장이라도 그러한 장치를 만들 수 있습니다 놀랍지 않나요? 1. 만장일치 투표 컴퓨터 그러면 정말 단순한 우리의 첫번째 컴퓨터인 만장일치 투표 컴퓨터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UN 상임이사국 5개 국가 대표는 모두 찬성을 해야만 안건이 통과됩니다 5명 앞에 놓여있는 스위치를 모두 눌렀을 때만 전구에 불이 들어오고 한 명이라도 누르지 않으면 전구에 불이 들어오지 않아야 합니다 어떤 전기회로를 만들면 될까요? 사실 너무 쉽죠 위와 같이 스위치 5개를 직렬로 연결하고 하나의 폐쇄 회로에 전구를 연결하면 됩니다 전기신호를 사용하였고 만장일치 여부를 인간이 아닌 장치가 판단하여 알려주었기 때문에 이 장치는 충분히 컴퓨터..

정보를 저장하고 전달하고 그것을 가공하는 매개체는 언어입니다 인간은 말로 의사를 전달하고 글로 저장합니다 몸 속에서는 전기신호와 화학작용이 언어입니다 그럼 컴퓨터의 언어는 무엇일까요? 18세기까지만 해도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과 즉각적인 의사소통은 불가능했습니다 고작 할 수 있는 건 편지를 보내는 정도죠 그런데 18세기에 전기가 발명됐어요 전기는 너무나도 유용해서 모든 분야에서 혁신이 일어나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이제 타임머신을 타고 전기가 발명된 18~19세기로 이동합시다 우리는 사실 이미 전기의 많은 능력을 경험해본 사람입니다 이 전기를 이용해서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과 의사소통도 할 수 있을까요? 우리 집과 친구 찰스 집에 전선을 깝니다 찰스가 또 쓸데없는 짓한다고 째려보네요 우리 집에는 건전지와 스..

CODE 저자 찰스 펫졸드 출판 인사이트 발매 2015.01.25. ※ 본 강의는 [CODE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숨어 있는 언어] 라는 책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고 했지만 중등수준의 수학과 전기회로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컴퓨터는 이제 우리에게 너무나도 친숙한 존재입니다 우리의 생각보다 많은 곳에 컴퓨터가 있습니다 컴퓨터로 할 수 있는 일들을 생각해 보면 놀랍죠 하지만 우리는 사실 컴퓨터를 잘 모릅니다 사용할 줄만 알죠 하지만 친구와 카톡을 하거나, 빅스비에게 날씨를 물어보거나, 개발자가 코딩을 하거나, 컴퓨터를 안다는 것은 중대한 차이를 만듭니다 세상을 보는 눈이 바뀌고 생각과 행동에 새로운 의미가 발생합니다 대체 컴퓨터는 어떻게 그 많은 일들을 해내는 것일까요? 앞으로 컴퓨..
- Total
- Today
- Yesterday
- 전가산기
- 전기신호
- NAND
- 인버터
- OR
- 8비트 가산기
- AND 게이트
- 전기회로
- 릴레이
- 덧셈
- 컴퓨터의 원리
- 전자석
- 논리게이트
- 자리올림
- 인플루언서
- 기호
- xnor
- 내부구조
- 복잡성
- 컴퓨터의 작동원리
- not
- 진리표
- NOR
- 찰스 펫졸드
- 전신
- xor
- 컴퓨터 작동원리
- 실제
- 이진수
- 반가산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