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장에서는 릴레이라는 장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 전에 먼저 알고 있어야 하는 개념이 있습니다
1. 전자석
전기로 자석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전류가 흐르게 되면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합니다
이를 이용해서 자석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전자석의 형태는 솔레노이드 라는 형태입니다
둥근 도체에 전선을 감아주고 전류를 흘려주면
도체 양끝에서 강한 자기장이 발생하게 됩니다
다음 영상을 확인해 보시면 금방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2. 릴레이
이제 릴레이라는 장치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릴레이의 회로는 위와같이 생겼습니다
입력과 연결되는 전자석이 있고 그 위에 철심이 있습니다
이 철심은 한쪽에는 전원(V)이 연결되어 있고 한쪽에는 출력이 연결되어 있죠
전자석에서 나가는 전선은 접지된다고 이해하면 되는데
접지가 뭔지 잘 모른다면 그냥 전류가 흘러 나가나 보다~ 하고 대충 넘어갑시다
지금 이 상태가 입력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입니다
출력에도 전류가 흐르지 않죠
이 상태에서 입력에 전류를 흘려주면 어떻게 될까요?
1. 전자석에 전류가 흘러 자성을 띄게 됩니다
2. 전자석 위에 있는 철심이 자성에 의해 당겨져 아래로 움직입니다
3. 출력 접점과 연결이 되어 출력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영상으로 실제 동작을 확인해 보세요
Circuit Simulator (https://www.falstad.com/circuit/circuitjs.html) 에서 가상으로 회로를 시뮬레이션 해볼 수도 있어요
전기회로 학습하기에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다음은 릴레이의 예시이며 한번 직접 동작해 보고 움직임을 살펴 보세요
3. 인버터
- 릴레이의 응용
릴레이를 응용한 인버터라는 장치가 있습니다
입력에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릴레이와는 다르게 출력이 연결된 접점이 바뀌었습니다
이렇게 하니 입력이 없을 때 출력에 전류가 흐릅니다
입력에 전류를 보내면 릴레이와 다르게 출력회로가 끊어지게 됩니다
입력이 있을 때 출력에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인버터는 릴레이와 정확하게 반대로 동작합니다
이 장치들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인간이 조작하는 스위치가 아니라 스스로 전기신호가 제어된다
이것이 인간 생각의 논리를 전기회로로 옮길 수 있게 되는 본질이며 시발점이다
별 것 아닌 것처럼 보이는 장치 하나가 이렇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릴레이들을 조합하면 다양한 논리회로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다음 장에서는 릴레이들로 어떠한 논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컴퓨터의 작동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의 작동원리 - CODE] 5. 나머지 논리 게이트 (0) | 2019.05.23 |
---|---|
[컴퓨터의 작동원리 - CODE] 4. 첫번째 논리 게이트, AND (0) | 2019.05.22 |
[컴퓨터의 작동원리 - CODE] 2. 나의 첫번째 컴퓨터를 만들어 보자 (0) | 2019.05.19 |
[컴퓨터의 작동원리 - CODE] 1. 컴퓨터의 언어 (0) | 2019.05.19 |
[컴퓨터의 작동원리 - CODE] 0. 소개 (0) | 2019.05.19 |
- Total
- Today
- Yesterday
- 릴레이
- 컴퓨터 작동원리
- 컴퓨터의 작동원리
- 찰스 펫졸드
- AND 게이트
- 실제
- 전기회로
- 반가산기
- xor
- OR
- NAND
- 전신
- 내부구조
- 전자석
- 자리올림
- NOR
- 진리표
- 기호
- 복잡성
- 논리게이트
- xnor
- 인플루언서
- 8비트 가산기
- 덧셈
- 컴퓨터의 원리
- 이진수
- 전기신호
- not
- 인버터
- 전가산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