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장에서는 학습을 잠시 쉬어 가죠 대신 지금까지 배운 것에 대해 생각을 좀 해 봅시다 전가산기를 하나의 기호로 표시하면서 내부적인 구조는 모두 숨기고 장치의 기능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내부 구조가 얼마나 복잡한지 꼭 기억해야 합니다 그러한 통찰이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를 이끌어 냅니다 AND 게이트 -> 릴레이 2개 OR 게이트 -> 릴레이 2개 NAND 게이트 -> 릴레이 3개 (인버터도 릴레이로 취급) XOR 게이트 -> NAND + OR + AND -> 릴레이 7개 반가산기 -> XOR + AND -> 릴레이 9개 전가산기 -> 반가산기 2개 + OR -> 릴레이 20개 단순히 두 개의 이진수를 더하기 위해 무려 20개의 릴레이를 복잡하게 연결해야 합니다 지금 우리가 누리고..
컴퓨터의 작동원리
2019. 5. 25. 18:0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xnor
- 복잡성
- 8비트 가산기
- NOR
- 반가산기
- 인버터
- 릴레이
- not
- 컴퓨터의 작동원리
- 전기회로
- OR
- 전자석
- 논리게이트
- 전기신호
- 내부구조
- 이진수
- 전가산기
- 실제
- NAND
- 인플루언서
- 자리올림
- 전신
- 덧셈
- 컴퓨터 작동원리
- AND 게이트
- 찰스 펫졸드
- 기호
- 컴퓨터의 원리
- 진리표
- xo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